인클러저 형태에 따른 스피커의 종류(3) 기타
패시브 레디에이터
리플렉스 시스템 중에는 패시프 레디에이터(Passive radiator)가 있는데, 이것은 보조 저역 발생 장치(auxiliary bass
radiator)나 ABR로도 부릅니다. 패시브 레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이나 자기적인 구조가 없는 평평한 진동판으로, 그 자체만으
로는 소리를 발생시킬 수 없습니다. 대신에 진동판이 리플렉스 시스템의 포트를 대신하여 우퍼의 움직임에 의해 변화하는 캐
비닛 내의 공기 압력에 대응하여 움직입니다. 패시브 레디에이터는 스피커 응답에 생길 수 있는 피크를 매끄럽게 하고, 포티드
시스템의 바람 소리(처핑)와 포트에서 발생하는 공진 현상을 제거합니다. 패시브 레디에이터는 우퍼와 미드레인지 드라이버
사이에 있는 평평한 진동판입니다. 이 디자인은 리플렉스 로딩의 장점을 잘 이용하면서도 단점을 최소화한 것 입니다.
트랜스미션 라인 로딩
이와 다른 형태의 로딩 방식은 트랜스미션 라인(transmission line)입니다. 트랜스미션 라인에서는 우퍼의 후면 파가 영털 같
은 흡음재로 채워진 미로나 덕트, 즉 트랜스미션라인으로 흐릅니다. 트랜스미션 라인의 끝은 리플렉스 시스템처럼 인클로저의
외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트랜스미션 라인은 통과하는 음향 에너지를 흡수하여 끝에는 아무런 음향적 출력이 없도록 합니
다. 이론적으로는 우퍼의 후면파가 모두 흡수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트랜스미션 라인은 끝에서 약간의
출력을 가지므로 부분적으로 리플렉스 시스템 같은 기능을 합니다. 라인의 길이는 적어도 흡수될 최저 파장만큼은 되어야 하
므로 인클로저도 매우 커지게 됩니다. 트랜스미션 라인 방식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밀폐형 인클로저의 스프링 동작이 우퍼에
이상적인 환경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트랜스미션 라인 스피커는 극히 깊은 저역 확장과 큰 음량의 저역을 깨끗하고 편안하게 들려주는 능력을 갖고 있습니다. 좋은
음질만큼 인기가 있지 않은 이유는 아마도 크기가 큰 때문일 것입니다.
아이소배릭 로딩
로딩의 네 번째 형태는 린 프로덕트(Linn Products)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흔히 상표명인 아이소배릭(Isobarik)방식으로 부르
며, 또 기술적인 용어로는 상압실(constant pressure chamber)이라고도 합니다. 아이소배릭 시스템에서는 두 번째 우퍼가
첫 번째 우퍼 바로 뒤에 장착되어 병렬로 구동됩니다. 전방의 우퍼가 뒤로 움직이면 두 번째 우퍼도 마찬가지로 뒤로 움직입니
다. 이렇게 하면 2개의 우퍼를 분리하는 내부 공간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런 방법은 깊이 있는 저주파 확장, 높은
파워 핸드링, 큰 직진성, 그리고 인클로저 내의 정재파 반사 감소를 제공합니다. 아이소배릭 로딩은 앰프가 3개 우퍼를 구동하
지만, 그 중 하나만 음향 출력을 발생기키므로 감도가 줄어듭니다. 아이소배릭 방식으로 장착된 2개의 우퍼는 보통 크기 절반
의 인클로저에서 큰 질량과 유연성을 갖고 유용한 깊은 저역을 전달하는 단일의 우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발췌: 하이엔드 오디오 컴플릿 가이드-로버트 할리
'오디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ADD 녹음방식 이란 ? (0) | 2010.05.07 |
---|---|
[스크랩] ADD 녹음방식이란 ? (0) | 2010.05.07 |
[스크랩] 스피커의 종류(2) 리플렉스 로딩 (0) | 2010.05.07 |
[스크랩] 스피커의 종류(1) 밀폐형 (0) | 2010.05.07 |
[스크랩] 인티앰프란? (0) | 201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