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공부

[스크랩] 소리를 나타내는 용어(1) - 사운드스테이지

MKK1004 2010. 5. 7. 19:5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운드스테이징

사운드스테이지(soundstage) 또는 음장은 음악이 표현되는 겉보기의 물리적 규모입니다. 좋은 시스템 앞에서 눈을 감으면,

흔히 콘서트 홀 같은 음향 공간 안에 악기 연주자와 가수들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운드스테이지는 폭과 깊이의 물리적

특성을 갖고 있어서 감상실 내에 거대한 크기와 공간의 느낌을 만들어 냅니다. 사운드스테이징(soundstaging)이란 말은 이미

징(imaging)이란 단어와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미징이란 녹음된 음향에서 3차원 공간 내에 악기가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크고 또렷한 음장 공간은 콘서트 홀이나 교회 같은 실제 음향 공간 내에서 제작된 오디오파일 레코딩

을 재생했을 때 가장 잘 들을 수 있습니다.

음장을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어주는 말은 물리적인 규격 - 폭과 너비 - 입니다. 음장이 잘 재생되면 좌우 스피커의 바깥으로부

터, 그리고 더 나아가 벽 뒤편에서도 음악이 들려오는 것을 들을 수 있게 됩니다.

음악이 재생되는 과정이 모두 다 놀라운 것들이지만 그 중에서도 사운드스테이징(soundstaging)만큼 놀라운 것은 없다고 해

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단순히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2차원적인 전기 신호에 의해서 2개의 스피커가 구동됩

니다. 이 2개의 변화하는 전압에 의해서 3차원의 파노라마가 여러분 앞에 펼쳐집니다. 음악을 개별 악기들이 혼합된 평면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제 1 바이올린 주자가 왼쪽 앞에 있고, 오보에는 가운데 뒤쪽에, 금관은 오른쪽의 베이스 뒤에 있습니다. 그

리고 탬버린은 제일 끝 다른 악기들 뒤에 있습니다. 실연에서 듣는 것처럼 소리가 공간 속에 존재하는 개별적인 존재로 구성되

어 있습니다. 게다가 오보에의 음색이 오보에의 위치에서 나오고, 바이올린의 음색은 바이올린의 위치에서 나오는 것으로 듣

습니다. 감상실은 사라지고 광대한 공간의 콘서트 홀로 바뀝니다. 이 모든 것이 두 개의 전압으로부터 말입니다.

사운드스테이지는 두 개의 오디오 채널에 기록된 시간과 증폭도의 차이에 의해서 우리의 뇌 속에서 창출됩니다. 사운드스테이

지의 오른쪽 뒤에 있는 악기의 이미지를 들을 때 귀와 뇌는 도달한 두 개의 신호에서 약간 다른 정보를 처리하여 청각적 이미지

를 합성합니다. 우리의 시각적인 인지 능력도 마찬가지로 작용합니다. 망막에 들어온 정보에는 깊이를 나타내는 정보는 없습

니다. 뇌에서 두 개의 평평한 이미지 사이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그 깊이를 추론하는 것입니다.

오디오 제품에 따라 음악의 공간 측면을 표현하는 능력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제품들은 사운드스테이지의 폭을

줄이고 깊이감을 축소시킵니다. 다른 제품들은 잘 발달된 사운드스테이지를 드러내어 줍니다. 음악적으로 만족스러운 재생을

위해서는 사운드스테이징 성능이 결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제품들이 사운드스테이

징을 제공하는 미묘한 단서들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고 있습니다.

음장의 폭이 좋지 못한 것을 표현하는 단어는 좁은(narrow) 또는 조여진(constricted) 등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장이 감

상자를 둘러싸지 못하고 스피커 사이에 짓눌리게 됩니다. 깊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평평한(flat), 얕은(shallow), 또는 축소된

(foreshortened) 음장으로 표현합니다.

음장의 깊이에 대한 환상은 홀의 반사나 잔향 같은 작은 소리에서의 공간 정보를 풀어내는 능력이 우수할수록 더 잘 느낄 수 있

습니다. 클라이맥스 다음의 고요함에 의해 잔향이 아스라히 사라지는 것을 들어보면, 잔향이 공간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큰 소리는 어두운 방에서의 번쩍이는 불빛과도 같습니다. 공간은 순간적으로 빛나며 우리가 공간의 규모와 특

징을 살필 수 있게 해줍니다.

이와 관련된 것이지만, 악기를 둘러싼 음향 공간과 잔향은 악기의 이미지와 분리되어 나타나야만 합니다. 오디오 제품의 성능

이 좋을수록 악기의 이미지를 녹음된 음향 위에 겹치기보다는 그 안에 둡니다. 실제 잔향과 홀의 울림은 사실적인 음향 공간 안

에 실제 악기의 이미지를 만들 수 있도록 음상 그 자체와는 분리되어져야 합니다. 수준 낮은 제품들은 이러한 공간적인 단서를

풀어내지 못합니다. 음장의 깊이를 줄이고 잔향이 사라지는 것을 잘라 버리며 잔향과 악기의 음상을 한데 뭉그러뜨려 버립니

다. 이렇게 되면 오디오 시스템에서 원래 음향 공간을 전달하는 능력은 사라지고 맙니다.

이제까지 공간과 깊이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이제부터는 이러한 공간 내에 악기의 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

해서 이야기해 봅시다. 악기의 음상은 음장에서 특정한 공간적 위치를 차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버순의 소리는 퍼지고 경

계가 없는 이미지가 아니라 공간의 특정 지점에서 나와주어야 합니다. 이것은 기타, 피아노, 색소폰이나 어떤 종류의 음악의 악

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리드 보컬은 두 스피커 사이의 정확한 한 지점에서 나와주어야 합니다. 어떤

기기들, 특히 큰 스피커들은 각 악기들을 실제보다 더욱 크게 만듦으로써 이미지의 크기를 왜곡시킵니다. - 클래식 기타가 갑

자기 3미터 너비로 들립니다. 재생 시스템은 어쨌든 20미터 너비의 오케스트라에서부터 솔로 바이올린까지 어느 정도까지는

올바른 크기와 이미지를 전달해 주어야 합니다. 여기서 "어느 정도까지는" 이란 표현을 쓰는 것은 불과 2-3미터 간격을 둔 2개

의 스피커를 통해서 그렇게 넓게 펼쳐진 본래 소리의 공간과 원근을 올바르게 재생하는 것은 실제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입니

다. 음상의 크기와 위치가 레코딩 고유의 특성이기는 하지만, 이들은 재생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에 의해서 극적일 정도로 영향

을 받습니다.

깨끗하고 또렷한 사운드스테이지를 표현하는 용어는 초점이 잡힌(focused), 조여진(tight), 윤곽이 뚜렷한(delineated). 그리

고 선명한(sharp) 등입니다. 정위감(image specificity)이라는 말은 이미지의 초점과 공간 내에서의 위치가 얼마나 정확한가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사운드스테이징의 수준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뒤섞인(homogenized), 얼룩진(blurred), 혼란한

(confused), 혼잡한(congested), 두꺼운(thick) 그리고 초점이 없는(lacking focus) 등으로 표현합니다.

사운드스테이지와 관련된 또 하나의 내용은 단층감(soundstage layering)입니다. 이것은 앞에 있는 이미지에서부터 뒤에 있

는 이미지까지 다양한 거리의 전후 관계 단서를 풀어내는 시스템의 능력을 말합니다. 나타낼 수 있는 변화의 숫자가 많을 수록

더 좋은 것입니다. 좋지 못한 제품의 경우에는 사운드스테이지 내에 서너 개의 층만 있는 듯한 인상을 줍니다. 최상의 제품에서

는 연속적인 거리감을 만들며 매우 미세한 깊이의 변화까지 깨끗하게 풀어내 보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렇게 의식하기 어려

운 미묘한 단서들을 잃어버리는 제품들은 우리가 듣고 있는 것이 인공적인 산물이라는 사실을 느끼게 해줍니다. 이렇게 공간

적으로 중요한 정보들이 드러날 때에는 실제가 아닌 것을 듣고 있다는 사실을 더 쉽게 잊어버릴 수 있습니다.

피어남(bloom)이란 개개의 악기 이미지들이 공기의 무리에 둘러싸여진 것처럼 느끼게 해주는 인상을 말합니다. 이것은 흔히

사운드스테이징과 관계됩니다. 비록 이미지의 윤곽이 명확하게 그려진다고 해도, 피어남을 느끼게 하는 음장은 이미지 둘레에

살짝 풀려진 공기의 느낌을 더해 줍니다. 그것은 마치 악기가 자기의 주위에 `숨쉴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을 따로 가진 것과도 같

습니다. 피어남을 느끼게 해주는 음장은 보다 자연스럽고 트여 있으며, 또 편안한 인상을 줍니다.

제품의 사운드스테이징 성능은 다양한 음악을 재생해 봄으로써 평가하여야 합니다. 어떤 제품들은 음량이 작을 때는 우수한

사운드스테이징을 제공하지만, 클라이맥스에서 음량이 커지면 그것이 무너지고 맙니다. 음량을 변경해가면서 공간의 원근을

들어보십시오.


이미지의 초점이 얼마나 잘 맞는가를 테스트하는 방법은 팝 음반의 백 그라운드 보컬이나 합창에서의 목소리를 들어보는 것입

니다.

어떤 제품들은 크리스털처럼 청명하게 훤히 들여다보이는 사운드스테이지를 만들어내어 감상자들이 무대의 뒤까지 들을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한 투명한(transparent) 음장은 세부를 깨끗하게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생동감(lifelike)과 현실감

(immediacy)을 갖고 있습니다. 반대로 불투명한(opaque) 사운드스테이지는 공간 속을 들여다보는 느낌을 주지 못할 정도로

두껍거나 매우 어둡습니다. 장막을 드리운(veiling)이라는 단어는 흔히 투명도가 부족할 때에 쓰는 말입니다.

사운드스테이징은 필자의 음질 우선 순위 목록에서 상위 단계(음조의 균형이나 입자가 없는 것 다음)에 있습니다. 음악을 하나

의 큰 이미지가 아니라 공간에 둘러싸인 개별 이미지의 집합체로 표현하는 능력은 음악적인 현실감을 창조하는데 있어서 대단

히 중요한 일입니다. 광대하면서도 깊이 있고, 초점이 또렷하며 피어나는 듯한 음장은 대단한 장관입니다.

사운드스테이징을 평가하고 또 지금까지 설명한 특징들을 듣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러한 공간적인 단서가 수록되어 있는 음반

을 사용해야만 합니다. 다수의 마이크로 녹음한 스튜디오 녹음이나 여러 번 더빙한 녹음들은 지금까지 설명한 음장의 특성들

을 잘 나타내어 주지 못합니다. 음장의 모든 측면들을 듣기 위해서는 실제 음향 공간에서 스테레오 마이크로 폰 테크닉으로 제

작된 음반과 순수한 신호 경로가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요약하면, 사운드스테이징은 녹음과 재생 시스템이 이상적으로 결

합되었을 때 얻을 수 있습니다. 만일 레코딩에 사운드스테이징의 단서가 되는 정보들이 담겨 있지 않다면, 아무리 들어도 이 시

스템이 얼마나 좋은지 나쁜지 잘 알 수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오디오파일 음반들은 라이브 무대에 존재하는 공간적 정보를 자

연스럽게 담아내기 위해서 대개 두 개의 마이크를 사용해 녹음하고 있습니다.

사운드스테이징과 관련된 또 다른 용어로는 임장감(envelopment)이 있는데 이것은 홈 시어터나 멀티 채널 사운드로부터 나온

말입니다. 이 말은 프론트 또는 서라운드 스피커에 의해 생긴 음장에 푹 빠진 듯한 느낌을 설명합니다. 서라운드 사운드를 잘

재생하면 감상자 주위를 둘러싸서 프론트와 리어 사운드 사이를 연속적으로 이어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제 13장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뛰어난 사운드스테이징은 비교적 손상되기 쉽습니다. 스피커 한 가운데에 앉아서 들어야 함은 물론이고, 재생 시

스템의 모든 구성 제품이 수준 이상에 있어야만 합니다. 사운드스테이징은 수준 낮은 제품이나 나쁜 음향환경, 또는 스피커의

잘못된 설치 위치로 인하여 쉽게 파괴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여러분들에게 사운드스테이징을 위해 돈을 더 써야 된다고 이야

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렴한 제품들 중에서도 잘 해내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괜찮은 제품을 찾아내는 것은 단순

한 도전 이상의 일일 것입니다. 다음 장에는 여러분의 시스템으로부터 가능한 최상의 사운드스테이징을 성취하기 위한 실용적

인 제안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발췌: The Complete Guide to High-End Audio 로버트할리

출처 : 클래식오두막
글쓴이 : Min9 원글보기
메모 :